본문 바로가기
TRAVEL

목포근대역사관

by 앵두버리 2022. 3. 25.
반응형
반응형

  목포 근대역사관 소개입니다. 여기는 목포 문화관광 홈페이지에 설명이 너무 잘 나와 있네요. 목포 문화관광 링크를 걸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근대역사관 외에도 다양한 문화관광 관련하여서 설명이 잘 되어 있으니 꼭 들리셔서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목포근대역사관 입구(구 목포 일본영사관)

 

  한 가지 깨알 정보를 드리자면 가장 먼저 유달산 노적봉을 찾아서  가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그러면 다녀가고 싶으신 근대역사관 주변을 크게 확인이 가능하시고요. 문화해설사 선생님이 저 건물은 어떻고 저 건물은 무엇이고 바로 밑의 건물 하면서 친절하게 설명을 다 해주십니다. 심지어 저기가 드라마 어디이고 저기 건물은 어떤 회장님께서 샀다 등등. 추천 코스도 설명해 주십니다. 연희네 슈퍼도 기억하시죠 문화 해설 선생님께서 연희네 슈퍼 위치도 대략 설명해 주십니다. 거리가 좀 떨어져 있어서 들어가는 길목은 보이나 연희네 슈퍼는 보이지 않습니다. 설명을 잘 들으시고 둘러보시면 더 많은걸 볼 수 있을 듯싶습니다. 그 말 아시잖아요 아는 만큼 보인다. 

  노적봉도 꼭 들리셔서 둘러보시고요. 이순신 장군님도 계십니다. 일화 한 가지 설명드리면 노적봉은 돌 봉우리입니다. 왜군이 쳐들어 왔을 때 이순신 장군님이 노적봉을 쌀포대로 덮었고 이를 본 왜군이 군량미가 이렇게 많냐고 겁을 먹고 후퇴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만약 걸어서 올라가신다면 마을 벽면에 이쁜 그림들이 그려져 있으니 힘드시면 잠시 동심에 빠져보시면서 사진도 찍으시고 쉬엄쉬엄 올라가셔도 됩니다. 위에서 연희네 슈퍼 얘기를 드려서 드라마에 나온 슈퍼이기도 하지만 바로 뒤에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방공호도 있습니다. 앗 근대역사관 뒤에도 방공호가 있습니다. 우리의 전쟁으로 인한 역사물이라면 담담하게 받아들이겠으나, 이런 현장에 동원되고 수탈의 중심이었던 동양척식 주식회사의 건물들을 보면서 다시는 이런 일이 안 생기도록... 아 이야기가...

  구 목포 일본영사관(현 목포 근대역사관)

  1897년 10월 1일 목포항이 개항되고, 1897년 10월 26일에는 목포 일본 영사관이 설치되었다. 이 건물은 일본영사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1900년 1월에 착공하여 같은 해 12월에 완공한 것으로 르네상스 건축양식을 띄고 있다. 이후 한일 간의 국제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목포 이사청, 목포부청, 목포시청, 목포 시립도서관, 목포문화원 등으로 사용되었다. 붉은 벽돌을 사용하여 지은 좌우대칭 사각형 모양의 건물로 중앙에 있는 현관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 1층과 2층 사이에는 벽돌의 허리 돌림띠를 두었으며, 창문 왼쪽과 오른쪽에 흰색 벽돌을 반듯하게 장식하였다. 실내의 천장 장식, 벽난로, 거울 등은 건축 당시의 모습대로 남아있다. 이 건물은 목포의 개항과 관련하여 역사적, 건축학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근대 건축물 가운데 하나로 1981년 국가사적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렇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목포관광여행에서는 목포 근대역사관이 현재 목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첫출발은 목포진으로 조선 수군의 진영으로 출발하였다고 합니다. 

 

 

지역여건

목포시청 목포시 대표 누리집 www.mokpo.go.kr

152.99.135.118

  목포 문화관광 홈페이지이니 들어가 보시면 추천코스도 나와있고 인근의 관광명소에 관한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으니 참고하세요. 저는 다른 이점으로 인해서 코스를 정해서 다니지는 않았습니다.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구 동양척식 주식회사 목포지점

동양척식 주식회사는 일본이 한국경제를 독점 착취하기 위해 1908년 설립한 특수 국책회사이다. 동척 목포지점은 본래 나주 영산포에 설립(1909. 8. 31 출장소 개설, 1920. 4. 1 지점 승격)되어 있던 것을 1920년 6월 1일 자로 목포로 옮겨 온 것이다. 본 건물의 신축년도는 1921년 11월 7일로 여겨진다. 광복 이후 1946년부터 1974년까지 해군 목포 경비부가 창설되어서 이 건물에 주둔하였고, 1974년부터 1989년까지는 목포해역사 헌병대로 사용되었다. 이후 목포해역사가 전남 영암으로 이전해 감에 따라 1989년부터 1999년까지 약 10년간 빈 건물로 폐허처럼 방치되었다가, 부속건물은 1999년 철거되고 현재 본동만 남아있다. 이 건물은 2006년도에 내외부를 개보수하였고 현재는 목포 근대역사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의 내부는 많은 변형이 되었으나 외부는 건축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설명된 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건물은 전라남도 기념물 제174호로 1999년 11월 20일 지정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전시관으로 이용되고 있으니, 안에 관람을 하고자 하신다면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요금을 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노적봉 위치입니다. 밑으로 보이시는 곳이 근대역사문화공간입니다. 노적봉에서 바라보시고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을 둘러보시는 코스를 추천드립니다.  

0123456

반응형

댓글